대형마트, 앞으로는 공휴일엔 모두 문을 닫아야 한다고?
이재명 정부가 새롭게 추진 중인 유통 정책 중 하나가 바로
‘공휴일 대형마트 의무 휴업’ 법제화입니다.
지금까지는 지역마다 달랐던 의무휴업일을,
이제는 법으로 정해서 공휴일엔 전국의 대형마트가 모두 문을 닫도록 하자는 움직임이 본격화되고 있습니다.
골목상권 살리기? 소비자 불편? 갈리는 반응
정부는 이 제도의 핵심 이유로 전통시장과 소상공인 보호를 강조합니다.
대형마트가 쉬는 날, 소비자들이 자연스럽게 골목상권을 찾게 된다는 논리입니다.
하지만 현실은 조금 다릅니다.
최근 몇 년 사이 사람들의 소비 패턴은 확실히 바뀌었습니다.
마트가 문 닫는 날이면 대부분의 소비자들은 전통시장이 아니라 온라인 쇼핑몰로 이동합니다.
이렇게 되면 정작 골목상권이 아니라 대형 온라인 유통사가 반사이익을 얻는 결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실제 마트 직원과 소비자 반응은 이랬다
서울에 있는 한 대형마트 직원은 이렇게 말했습니다.
“공휴일은 매출이 높은 날인데, 휴업하라고 하면 타격이 클 수밖에 없죠. 소비자들도 불편해하고요.”
또 주말이나 명절에만 장보는 직장인들은
“마트까지 닫아버리면 장보기가 너무 어렵다”는 반응도 많습니다.
결국 이 정책이 소상공인에게도 직접적인 이익이 되는지는 불확실하다는 평가가 나옵니다.
실제 주가까지 출렁였다
이 발표가 보도된 이후, 대형 유통업체의 주가가 크게 하락했습니다.
이마트는 8.3%, 롯데쇼핑은 9% 가까이 하락하며 시장에서는 이미 소비 위축을 우려하는 분위기가 나타났습니다.
이는 단순한 반응이 아니라
투자자들이 정책 리스크를 실적 하락으로 연결해 바라보고 있다는 신호입니다.
법 개정안은 어떤 내용인가?
더불어민주당이 발의한 개정안의 핵심은 다음과 같습니다.
* 공휴일마다 대형마트는 의무적으로 휴업
* 지자체가 정하던 기존 방식은 폐지
* 전통시장 반경 1km 이내 출점은 더 까다롭게 규제
정부가 직접 통제에 나서 유통 질서를 재정비하려는 움직임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정답은 어디에 있을까?
물론 전통시장을 보호하고
소상공인의 숨통을 틔우는 정책은 필요합니다.
하지만 현실을 고려하지 않은 규제는
결국 또 다른 불균형과 역효과를 만들어낼 수 있습니다.
대형마트가 문을 닫는다고 해서 전통시장 매출이 반드시 증가한다는 공식은
지금의 소비 행태를 보면 이미 한계가 분명합니다.
여기까지 대형마트, 앞으로는 공휴일엔 모두 문을 닫아야 한다고?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이번 정책은 소상공인과 소비자, 유통업계 모두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사안입니다.
정치적 상징보다 실제 데이터와 소비 흐름에 맞춘 정책 설계가 필요한 시점입니다.